
본문
강진 백운동 원림은 담양 소쇄원, 완도 부용동정원과 함께 호남 3대 정원으로 알려져 있다. 이담로(李聃老, 1627∼1701)가 중년에 조성하였고, 만년에 데리고 들어와 살기 시작한 둘째 손자 이언길(李彦吉)에게 유언으로 ‘평천장(平泉莊)’의 경계를 남겨 후손들에게 전함으로써 지금까지 12대에 걸쳐 이어져 온 유서 깊은 생활공간이다.
원림의 뜰에 시냇물을 끌어 마당을 돌아나가는 ‘유상곡수’의 유구가 남아 있고, 민가에서는 보기 드물게 선비의 덕목을 담은 소나무, 대나무, 연, 매화, 국화, 난초 등이 자라는 화계(花階)를 만들어 지형을 자연스럽게 보전하였다.
강진 백운동 원림은 후손들과 명사들이 남긴 문학작품에 자주 등장한다. 정약용은 백운동에 묵으며 그 경치에 반해 초의선사(草衣禪師, 1786∼1866)에게 ‘백운동도’를 그리게 하고 「백운첩(白雲帖)」에 12승경을 칭송하는 시를 남겼다. 다산의 제자이기도 한 이시헌(李時憲, 1803∼1860)은 선대의 문집과 행록(行錄), 필묵을 「백운세수첩(白雲世手帖)」으로 묶었다.
조선 후기의 문인 묵재(默齋) 신명규(申命圭, 1618∼1688), 몽와(夢窩) 김창집(金昌集, 1648∼1722),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 1653∼1722), 창계(滄溪) 임영(林泳, 1649∼1696) 등이 남긴 백운동 관련 시문들이 지금까지 전해 온다.
강진 백운동 원림은 아름다운 명승지를 방문하고 즐겨온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를 잘 보여주고 있는 최고의 별서 원림 중 하나이다. 2019년 3월 11일 명승으로 지정되었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지도
